
[ 타임즈 - 김시창 기자 ] 경기도의회 안전행정위원회 안계일 의원(국민의힘, 성남7)은 11일 열린 2025년 행정사무감사에서 송탄소방서를 대상으로 고령층 대상 ‘찾아가는 CPR 및 생활안전교육’의 확대와 상시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고령화로 인한 응급·생활안전 사고가 꾸준히 증가하는 만큼, 예방 중심의 실습형 안전교육이 지역사회 안전망 강화를 위한 핵심 과제라는 판단에서다.
송탄소방서는 관내 경로당과 마을회관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초기 화재 대응, 낙상 예방 등 실습 중심의 안전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2025년 현재 24회, 279명이 참여했으나 관내 경로당이 237개소인 것을 고려하면 교육 비율은 낮은 수준이다.
안 의원은 “고령층의 심정지 환자 비율이 2022년 54.3%에서 2024년 57.8%로 증가했다”라며, 노인 대상 응급 대응 교육을 단발성 행사가 아닌 지역 안전 정책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 의원은 특히 비공식 경로당이나 소규모 마을 단위 거점 등 교육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접근성을 높이는 방안을 함께 제시했다.
또한, 의용소방대 강사 인력의 안정적 운영체계 구축과 반복훈련 모델 도입의 필요성도 함께 제기됐다. 안 의원은 “교육을 한 번 듣고 끝내는 수준으로는 실질적 대응이 어렵다”라며 “응급상황에서 몸이 즉각 반응할 수 있도록 반복적이고, 주기적인 훈련이 이뤄져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안 의원은 노인복지관, 시니어클럽, 대한노인회 등 지역기관과의 연계형 교육을 제안하며, “지자체와 복지기관, 지역단체가 협력하는 통합 지원체계를 통해 교육 범위를 넓히고 질을 높여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안 의원은 이번 행정사무감사를 통해 송탄소방서가 계절별·생활 유형별 표준 교안을 마련하고, 실습 중심의 상시 운영체계를 구축할 것을 주문했다.
질의를 마친 안 의원은 “어르신 맞춤형 생활안전교육은 일회성 홍보가 아니라 고령층 안전망 구축의 중요한 기반이 돼야 한다”라며 지속적인 제도 개선 의지를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