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타임즈 - 김시창 기자 ]
□ 경기교통공사는 ‘2025년 여주 관광 원년의 해’를 맞아 여주시 관광지에 대한 인지도 개편과 더불어 이를 찾는 시민과 관광객들이 대중교통으로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4월 19일부터 매주 주말 “관광형 똑버스”를 시범운행 한다고 밝혔다.
□ 여주시와 경기교통공사는 2025년 1월부터 여주시 관광객의 이동 불편 해소와 지역관광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검토·협의해 왔다. 그 결과, 주요 교통시설과 관광지를 연계·운행하는 맞춤형 이동서비스를 제공하는 ‘관광형 똑버스’를 운행한다고 말했다.
○ 여주시는 많은 문화 및 역사 유적지, 계절별 볼거리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문화·관광지를 운행하는 노선버스가 없거나 혹은 운행하는 노선이 있더라도 약 1시간 이상의 긴 배차간격 등 이동 불편으로 관광의 한계가 있었다.
○ 실제 경강선을 타고 경기 둘레길(여주 34코스: 신륵사~강천보)을 찾은 관광객은 택시를 타거나 승용차를 이용할 수 밖에 없다고 했다.
○ 또한 승용차를 이용한 둘레길 방문객들은 신륵사에 주차하고 강천보까지 보행 이동 후, 다시 신륵사로 복귀하기가 어려워 둘레길을 걷는 것이 쉽지 않다는 사례도 있었다.
<“여주 관광형 똑버스” - 토·일 주말 9:00~19:00, 똑타 앱으로 편하게>
○ 운행지점은 총 10개소로 여주시 외 지역에서 방문하는 관광객을 위해 여주역, 여주터미널 등 2개 교통시설과 신륵사, 세종대왕릉, 효종대왕릉, 여주한글시장, 영월루, 금은모래강변공원, 황학산수목원, 강천보 등 8개 관광지를 대상으로 운행한다.
○ 운행시간은 09시부터 19시까지로, 4월 19일부터 매주 주말과 지역 내 축제·행사 기간에 일반 시내버스 요금과 동일한 1,450원(성인 기준)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 관광형 똑버스는 ‘똑타’ 앱과 운행지점에 설치된 키오스크로 호출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용자가 앱 또는 키오스크로 승·하차 정류장 등 출발·도착지점을 선택하고 호출하면, 차량이 실시간으로 배차되어 운행한다. 특히 이용자 휴대폰으로 차량 정보가 제공되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 더욱 구체적인 운영 및 이용 방법은 ‘똑타’ 앱 내 공지사항과 여주시 관광지 곳곳에 배치된 리플렛에서 확인 할 수 있다.
□ 경강선이나 고속버스를 타고 여주시를 방문한 외지인, 금은모래캠핑장에 놀러온 가족, 승용차로 둘레길을 찾은 탐방객 등 다양한 관광객이 관광형 똑버스를 이용해 자유롭고 편안한 이동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향후 친환경 관광차량 도입, 지역화폐 또는 관광패스 등 지속적으로 관광 상품을 개발·연계하고 여주시뿐 아니라 타 지역내 문화·관광지로 확대해 나아갈 계획이다.
□ 윤태완 경기도 광역교통정책과장은 “경기도가 최초로 선보이는 여주 관광형 똑버스는 평일에는 지역 주민 이동 편의를, 주말 및 축제 기간에는 관광객 접근성을 높여 똑버스 운행 효율을 극대화하는 정책이며, 경기도는 앞으로도 똑버스 활성화와 효율 증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민경선 경기교통공사 사장은 “관광형 똑버스 운행을 통해 여주를 방문하는 관광객과 경기둘레길 이용객 모두가 보다 편리하고 쾌적하게 이동할 수 있길 기대한다” 며, “앞으로도 여주시와 함께 지속가능한 관광 교통 서비스 제공과 지역관광 활성화에 적극 협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