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타임즈 - 김시창 기자 ]
□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는『 후진사고 방지 첨단안정장치 효과 』를 27일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19년~'23년 삼성화재에 자동차보험을 가입한 국산 차량의 첨단안전장치 장착 및 교통사고 실태를 분석한 결과이다.
□ 교통사고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19~'23년) 후진하는 자동차에 의한 교통사고는 전체 차대차 사고의 7.1%, 차대보행자 사고의 14.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위험 가해차량은 화물ㆍ승합차이고, 사고피해 취약 연령은 65세 이상 고령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후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첨단안전장치는 자동차가 후진 중 다른 차량 또는 보행자와의 충돌이 예측될 때 스스로 제동하는 장치로, 이 장치를 장착한 차량은 그렇지 않은 차량 대비 현저히 낮은 사고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 날 발표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최근 5년간 발생한 전체 보행자 교통사고의 14.3%는 후진사고
- 최근 5년간(2019~2023년) 차량의 통행행태별 교통사고를 분석한 결과,
·전체 사고 중 후진하는 차량에 의한 사고는 차대차 유형에서 7.1%,
차대보행자 유형에서 14.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2. 고위험군은 화물ㆍ승합차, 사고취약군은 고령보행자
- 후진 차량에 의한 보행 사망사고의 연령/차종별 특성을 분석한 결과,
·후진하는 화물ㆍ승합차에 의한 사망자는 39명으로 전체 사고의 78%
비중으로, 비후진사고(26.6%)의 3배 수준 고위험군으로 나타남
·고령자는 비교적 충격량이 적은 후진사고에도 사망에 이르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전체 사망자의 대부분(43명,86%)을 차지함
3. 후진사고 방지 장치 장착차량은 미장착 대비 사고 감소효과 뚜렷
[후진사고 방지 장치 설명]
후진 중 차량 또는 보행자와 충돌이 예측될 때 스스로 경고 및 제동하는 첨단안전장치로 센서의 감지 범위에 따라 차량용/보행자용으로 구분됨
R-AEB(차량용)
·후측방에서 다가오는 차량을 감지해 경고하고 충돌 예측시 자동 제동
R-AEB(보행자용)
·후방에 있는 보행자ㆍ물체를 감지해 경고하고 충돌 예측시 자동 제동
- 후진사고 방지 첨단안전장치가 장착된 차량과 장착되지 않은 차량이
발생시킨 후진 중 교통사고를 비교 분석한 결과,
·차량용 R-AEB가 장착된 차량은 차대차 사고 유형에서 차량 1만대 당 약 70.3건의 사고가 발생한 반면, 미장착 차량은 81.0건이 발생하여 13.2%의 사고감소 효과가 있었다고 해석할 수 있음
·보행자용 R-AEB가 장착된 차량은 차대보행자 사고 유형에서 차량 1만대 당 약 2.6건의 사고가 발생한 반면, 미장착 차량은 4.8건이 발생하여 44.7%의 사고감소 효과가 있었다고 해석할 수 있음
4. 후진사고 방지 장치가 탑재된 승용차 매우 적고, 화물ㆍ승합은 전무
- 삼성화재 가입정보를 기반으로 국산 승용ㆍ화물ㆍ승합 차량의
후진사고 방지 장치 기본 장착률을 분석한 결과,
·화물ㆍ승합차에 첨단장치가 장착된 차량은 전무하고,
·승용차中 R-AEB자동차 장착 차량은 전체 가입 차량의 10.9%(42여만대),
R-AEB보행자 장착 차량은 전체 가입 차량의 2.4%(9.4만여대)에 불과함
·일부 브랜드는 해당 기능 모델이 아예 없는 것으로 조사됨
5. 국내 후진사고 방지 장치 장착 확대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 필요
- 현행 법령상 후진사고 방지 장치 관련 장착의무 규정 없음
·전방사고 방지 첨단안전장치인 비상자동제동장치(AEB)의 경우,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을 통해
치사율이 높은 대형 차량을 우선적으로 장착 의무화('17~18년)한 후
모든 차량에 대해 장착 의무화('22년)된 것과 대조
※ 2023년말 기준 전방 AEB 장착률은 30.0%(삼성화재)
- 신차안전도평가(KNCAP) 항목에 보행자 충돌방지 평가규정 없음
·유럽의 신차안전도평가(EuroNCAP)에 보행자 안전성을 평가하여
차량 모델별 안전등급을 공표하는 것과 대조
□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 김승기 책임연구원은
“후진사고는 주로 주ㆍ정차 상황에서 예상치 못한 차량 또는 보행자의 출현으로 발생되나, 차량 후방은 제한된 시야로 인하여 운전자의 신속한 대응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은 첨단안전장치를 장착하는 것으로, 본 연구를 통해서 첨단장치의 사고감소 효과가 통계로 확인되었다.” 라고 말하며,
“현재 판매되는 승용차의 경우 장착률이 매우 낮고, 화물ㆍ승합차의 경우는 해당 기능이 장착된 차량이 없는 상황이다.” 라고 지적하고,
“후진사고 방지 장치가 확대될 수 있도록 위험차량에 장착을 의무화하고, 자동차 안전도평가 항목에 장치를 포함시키는 등 법ㆍ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