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타임즈 - 김시창 기자 ] 성남시정연구원은 지난 22일, ‘대학 협업 상생연구’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대학 협업 상생연구’는 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성남시 주요 현안에 대한 실효성 있는 정책 해법을 모색하고자 마련된 사업이다.
공모를 통해 선정된 가천대학교 스마트시티학과와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은 지난 4월부터 약 5개월간 도시·환경 분야 현안에 대해 현장연구를 수행했다.
보고회에서 가천대학교는 ▲겨울철 도로 결빙 취약지역 분석, ▲15분 생활권 구축 방안, ▲가로쓰레기통 설치 적정지 분석,
▲AI 기반 모빌리티 시뮬레이션, ▲보행자 교통사고 유형별 공간 분석, ▲위례신도시 수요응답형 버스(DRT) 도입 등 총 6건의 연구성과를 발표했다.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은 ▲탄천 재자연화 전략, ▲도시농업 모델 제안, ▲분당 어린이공원 리모델링 방안, ▲태평동 경관을 활용한 관광자원화 연구 등 4건의 과제를 통해 도시경관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이 가운데 가천대의 ‘겨울철 도로 결빙 취약지역 분석’ 연구는 수정구 태평동 일대의 일사량과 경사도를 분석해, 결빙 위험 구간을 도출하고 교통사고 예방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했다.
‘가로쓰레기통 설치 적정지 분석’ 연구는 시민 이용 패턴과 주변 환경 등을 고려하여 최종 적합지 지도를 그려 냈다.
또한 서울대 환경대학원의 ‘탄천 재자연화’ 연구는 탄천 공간 조성의 우수성을 인정하면서, 향후 도시 재개발, 재건축 완료 시 구간별 특성에 맞춘 차별화 전략을 제안했다.
이외에도 ‘분당 어린이공원 리모델링’ 과제는 인근지역 인구 구성과 생활 특성을 고려하여, 기능성과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는 공간 재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성남시정연구원 관계자는 “새로운 시각의 정책 대안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유능한 청년 인재들과 함께 지역 문제를 분석하고, 정책 해법을 제시하는 협업 연구를 이어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