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릉이 요금 올리면, 시민 10명 중 5명 이용 안 한다!

  • 등록 2024.11.08 20:21:05
크게보기

- 서울시, 100억 적자 따릉이 요금 인상 관련 ‘요금 현실화 방안 학술연구 용역’ 추진 중
- 용역 설문조사에서 요금 만족 수준 78%, 요금 인상에는 절반에 가까운 46%가 이용 의사 철회
- 김지향 의원, “따릉이 적자 문제 요금 인상만으론 해결 안 돼, 다양한 수익창출 방안 마련이 먼저 ”

 

[ 타임즈 - 김시창 기자 ]

□ 서울시민 중 따릉이 요금이 올라가면 이용하지 않겠다는 응답이 절반에 가까운 46%로 조사됐다.

 

□ 7일 김지향 의원(국민의힘, 영등포4)이 서울시에서 제출받은 ‘공공자전거 요금 현실화 방안 학술연구’ 중간보고 자료에서 따릉이 이용회원 1만 8,877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요금 만족 수준은 78% 매우 높지만, 요금 인상에 따른 이용 의사를 묻는 질문에 절반 가까운 이용자가 이용하지 않겠다고 답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2010년 11월 서울시 시범 운영으로 시작된 공공자전거 따릉이는 400대로 시작해 2024년 9월 기준 일반 40,000대 및 새싹 따릉이 5,000대 총 45,000대로 크게 확대되었으며 한해 이용 횟수는 4천만 건에 육박하는 등 서울시 대표적인 공공정책이 되었다.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 운영현황>

(단위: 대)

 

구  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9월

자전거

2,100

5,600

20,000

25,000

29,500

37,500

40,500

43,500

45,000

45,000

일 반

2,100

5,600

20,000

25,000

29,500

35,500

35,500

38,500

40,000

40,000

새 싹

-

-

-

-

-

2,000

5,000

5,000

5,000

5,000

 

□ 하지만, 따릉이 적자는 해마다 증가 추세에 있다. 운영수입에서 운영비용을 제외한 운영수지는 2022년(△94억 6백만원), 2023년(△109억 4천9백만원) 2024년 9월 기준(△95억 1천1백만원)으로 최근 3년간 따릉이 적자는 매년 평균 약 100억원에 육박한다.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 적자 현황>

(단위: 백만원)

 

구  분

2022년

2023년

2024.9월

운영수입(A)

16,255

16,467

11,203

운영비용(B)

25,661

27,416

20,714

 

인건비

12,402

14,063

8,642

수선유지비2)

3,051

3,431

3,423

그 외 경비

10,208

9,922

8,649

운영수지

(A-B)

△9,406

△10,949

△9,511

 

□ 따릉이가 만성적자 구조로 고착화되어가는 시점에서 유일한 수입원인 이용요금은 15년째 1,000원으로 동결되어왔다. 거대해진 운영 규모와 물가 상승 등이 반영되지 않아 따릉이 적자가 심해진 것이 서울시가 요금 현실화 용역을 추진하게 된 배경이다.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 이용요금>

(단위: 원)

 

구  분

1일

7일

30일

180일

365일

추가요금

1시간

1,000

3,000

5,000

15,000

30,000

기본 대여시간

(1시간 또는 2시간)

초과 시 5분당 200원

2시간

2,000

4,000

7,000

20,000

40,000

 

□ 다만, 따릉이 45,000대와 대여소 2,774개소라는 거대 인프라를 갖추고 회원 수가 470만 명에 육박하면서도 요금 인상만을 따릉이 적자 해소의 해결책으로 생각하는 서울시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있다. 이러한 점에서 ‘공공자전거 요금 현실화 방안 학술연구 용역’ 설문에서도 이용자 10명 중 5명은 요금 인상 시 따릉이를 이용하지 않는다고 답한 것이다.

 

 ○ 실제 2년 전인 ’22년도 서울시는 따릉이 적자를 해소하기 위해 광고 사업자를 모집했으나 응찰자가 없어 2회 유찰된 뒤로는 따릉이 적자 해소를 위한 수익 다각화 정책에서는 진전이 없는 상황이다.

 

□ 김지향 의원은 “최근 3년간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의 적자가 100억 원에 육박하고 있다. 복지정책이라는 이유로 따릉이의 만성적자 문제를 방치하는 것은 문제”라면서도 “서울시가 적자 문제를 요금 인상만으로 해결하려는 것은 지양해야 하며 요금 인상 전에 따릉이 인프라를 이용한 수익 창출에 대한 연구와 용역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시창 기자 korea1144@naver.com
Copyright @타임즈 Corp. All rights reserved.

프로필 사진
김시창 기자

타임즈 대표 김시창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사기막골로 99 성남센트럴비즈타워2차 16층 1604호 | TEL : 031-707-1144 | FAX : 031-789-6800 | H.P : 010-4766-1144 타임즈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경기, 아52365 | 등록일 : 2019.10.24 | 발행인 : 김시창 | 편집인 : 김시창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성희 타임즈 광고문의 E-mail : korean1144@naver.com | Copyright ⓒ타임즈 . All rights reserved. 타임즈의 모든 콘텐츠(영상, 기사, 사진, 이메일)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사용, 복사, 재배포시 저작권법에 접촉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